노인의 디지털 정보 접근성과 교통 이용 편리성
2024년 1월 기준,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는 약 97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9.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은 중요한 과제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디지털 시대에서 노인들의 교통 이용 편리성과 디지털 정보 접근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질수록 교통 서비스 활용도가 높아지고, 이는 노인들의 이동권과 생활 편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디지털 정보 격차와 노인들의 현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2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 대비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55세 이상 중장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평균 69.9%로, 나이가 많을수록 디지털 접근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률은 52.8%에 불과하며, 컴퓨터나 노트북 사용률은 6.3%로 매우 낮다. 이러한 디지털 정보 격차는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가중시킨다. 교통 정보나 서비스를 디지털로 제공하는 시스템이 확대되면서 노인들은 교통수단 검색, 예약, 결제 등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정보 접근성과 교통 이용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 교통 이용에서의 디지털 역량과 편리성 노인들은 신체적, 인지적 기능이 저하되면서 자가용보다는 대중교통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 디지털화된 교통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오히려 노인들에게 장벽이 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 정보 접근성이 높은 노인은 교통 영역의 디지털 역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이러한 역량은 교통 이용의 편리성과 직결되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정보 접근성이 교통 서비스 활용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디지털 역량이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노인은 버스 노선...